본문 바로가기

[체인지메어커 시리즈 1] 소셜 메거진을 통해서 노숙자들을 지원하기 오늘 구매를 한 빅이슈 코리아 1월호, 노숙인 판매원이 전해주는 귤 2개의 서비스까지~~ 가난한 사람들에 대한 지원은 어떻게 해야하지? 한국 사람이면 누구나 지하철이나 시장 등의 인파가 모이는 곳을 통해서 가난한 사람들의 도움(구걸)을 요청받게 된다. '여러분은 어떻게 하십니까?' 난 다소 이성적이며, 후원하는 기관들도 많았으므로 공공장소에서 적선하는 행위를 별로 좋아하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에는 성경의 가르침이 판단보다는 도움을 요청하는 자에게는 할 수 있는데로 돕는 것이 맞다는 가르침에 동의가 되어 난 상황이 허락되는 한 약간을 도움을 주려고 노력하고 있다. 그러면서도 다양한 생각이 들지만, 난 그냥 내가 처해진 상황 가운데서 할 수 있는 것에 감사하고 기도하는 태도를 갖고 있다. 소셜 엔터테인먼트 .. 더보기
1월 25일 적정기술포럼 안내 다양한 형태로 적정기술과 관련된 모임 및 논의들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우리나라 대기업들에서도 놀라운 관심들을 보이고 있어서 이번에는 그 관련자들이 연사로 함께 하게 되었습니다. 우리가 과학기술을 통해서 문명의 혜택을 누리고 있는 것처럼 적정기술은 하나의 페러다임으로 각 상황에 맞는 디자인 및 기술을 개발하는 것으로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보니 다양한 형태의 활용이 가능해집니다. 저처럼 국제개발협력분야 관심이 있는 사람의 경우는 개발도상국에서 이 적정기술이 어떻게 활용될지에 대해서 관심을 갖고, 기업측에서는 사회적책임과 수익이라는 두 마리의 토끼를 통해서 회사의 가치를 상당히 향상시키는 기회가 될 수도 있습니다. 최근에 한국에서 적극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사회적 기업에서도 관련된 내용들이 많이.. 더보기
소외된 90%를 위한 디자인 출간기념 적정기술 강연회 적정기술에 많은 투자를 했던 2010년 오랫동안 준비를 했던 적정기술 도서가 지난 주에 드디어 나왔다. 올 한해 여러가지 일들을 진행했지만, 가장 비중 있었던 것이 바로 '적정기술' 프로젝트이다. 적정기술을 위한 포럼(과학기술국제개발협력포럼 http://worldfriends.kr/136 )을 만들고, 적정기술 연구작업을 하기 위해서 제안서 작업을 해서 결국 연구보고서가 나오게 되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나온 프로젝트가 바로 이번 적정기술 출간 프로젝트이다. 적정기술의 개념과 전망 중간기술, 적정기술, 대안기술 등의 용어로 사용되는데 점차 적정기술이란 용어로 통일이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디자인을 비롯한 과학기술은 경제력이 있는 상위 10%를 위해서 사용된다. 그러나 현재는 전세계 고속성장의 시대가 끝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