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선교와 국제개발의 미묘한 경계를 논하다! 선교와 국제개발의 미묘한 경계를 논하다! - 한국 종교기반NGO 국제활동의 대안적 모델 - 2007 년 여름 우리는 아프가니스탄 피랍 사건을 보면서 선교와 국제개발활동의 미묘한 경계의 뜨거운 논쟁을 경험한 바가 있다. 한국사회에서 큰 논란을 야기시켰던 사건이 흐른지 2년, 그 논란은 잘 정리되었을까? 지난 10월 8일에 열린 제 21차 ODA 월례토크 “한국 종교기반NGO 국제활동의 대안적 모델”을 살펴보면 그 논란은 여전히 현재 진행형으로 보인다. 개발NGO와 밀접한 선교활동에서 대안을 모색하다. 우 리나라에서 국제개발협력사업을 하는 개발NGO의 협의체인 한국해외원조단체협의회(해원협)의 경우 회원단체 중 종교를 기반으로 하는 단체는 49%이며, 이들 중 상당수는 기독교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36%). .. 더보기
원조의 효과성에 대한 국제사회의 논의 (연구모임이 있어서 통일연구원의 자료 '국제사회의 원조현황 및 추진 전략'에서 내용을 요약한 것입니다) 원조의 효과성에 대한 국제사회의 논의 * 원조의 효과성에 관한 논쟁 * ▶ 원조의 효과성에 관한 논쟁 • 원조의 효율성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사용하는 지표 : 경제성장 • 원조는 국가 성장에 긍정 초기 자금 마련, 건강과 교육의 투자로 효율성 증대, 기술과 지식의 이전 • 원조는 국가 성장을 저해 부패 조장, 비합리적인 경제정책 운영 지속(개혁 지연), 저축감소, 자국화폐의 평가 절상 • 원조는 국가의 조건부 성장 수원국의 특성(자유,정책,무역,복지 등), 공여자의 형태(타이드 유무,평가 시스템 등), 원조의 종류(긴급구호, 교육 건강 등 장기적 지원, 경제 인프라) • 원조의 미시-거시 역설(micro.. 더보기
ODA Watch Newsletter 인터뷰 봉사를 통해 넓은 세상을 움직이고 싶습니다. - ODA Watch 2기 단원, 하재웅 ‘ 하재웅 ’씨는 세계청년봉사단(KOPION)과 한국국제협력단(KOICA) 등의 기관들을 통해 해외봉사를 여러 차례 다녀온 ODA Watch 2기 청년 단원입니다. 하재웅 씨와의 인터뷰를 통해서 현재 한국의 해외봉사의 현실과 문제점, 그리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 등에 대해서 들어보았습니다. 1. 먼저 자기소개를 부탁 드립니다. 7 년 전 세계청년봉사단을 통해서 몽골에 있는 국제기아대책기구(KFHI)에서 활동을 했었고, 이후 몇몇 기관을 통해 동남아나 중앙아시아에서 조금씩 활동을 하다가 작년에는 KOICA 해외봉사단원으로 중국에 파견되어서 활동하다가 돌아왔습니다. 현재는 대학원 공부를 하면서 한국해외봉사단원연합회(이하.. 더보기